Winter. Snow. Tree. Forest by Ki Hyung-do

Translated by Chae-Pyong Song and Anne Rashid

Photography by L. J. Sladek

Winter. Snow. Tree. Forest by Ki Hyung-do (1960-1989)

The snow
piles up here and there,
without being able to get all the way out of the forest.

“Is it you?
Don’t hurry.”
Thump. He falls down,
hit by a sharp blade.

I return home,
dragging the tree.
As I trim off the twigs,
I listen to the silence of the tree:
“I am here.
Death is unmasked life.
Our lives, our winters are like that, too.”

We kindle fire
toward the pain
that resembles ourselves.
The night in the forest beyond the window
tosses its body for a deeper quiet.

Till I confirm my clean death
I will be absent,
keeping a beautiful distance from whoever sparks a flame,
and warming my heart little by little.

The morning rising in the late winter
is what comes to make the most perfect nature.
Afterward,
against the direction the snow melts and flows
our spring will come.

겨울·눈(雪)·나무·숲/기형도

눈(雪)은
숲을 다 빠져나가지 못하고
여기 저기 쌓여 있다.

“자네인가,
서둘지 말아.”
쿵, 그가 쓰러진다.
날카로운 날(刀)을 받으며.

나는 나무를 끌고
집으로 돌아온다.
홀로 잔가지를 치며
나무의 沈默을 듣는다.
“나는 여기 있다.
죽음이란
假面을 벗은 삶인 것.
우리도, 우리의 겨울도 그와 같은 것.”

우리는
서로 닮은 아픔을 向하여
불을 지피었다.
窓너머 숲 속의 밤은
더욱 깊은 고요를 위하여 몸을 뒤채인다.

내 淸潔한 죽음을 確認할 때까지
나는 不在할 것이다
타오르는 그와 아름다운 距離를 두고
그래, 心臟을 조금씩 덥혀가면서.

늦겨울 태어나는 아침은
가장 完璧한 自然을 만들기 위하여 오는 것.
그 後에
눈 녹아 흐르는 방향을 거슬러
우리의 봄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Sleet by Ki Hyung-do

Translated by Chae-Pyong Song and Anne Rashid

Photography by Kim Jaegon

Photography by Kim Jaegon

Sleet by Ki Hyung-do (1960-1989)

Sleet flutters around.
Frozen hands are tucked inside overcoat pockets.
This snow may tramp over streets
that I don’t know
and wander around offices and buildings I have never seen.
A rectangular, document envelope falls on the snow-covered road.
As I stoop down, I think back to when I graduated from college and made many resolutions.
The sleet falls. Don’t be afraid, you capricious feet.
I have read about such a route home in a novel.
Underneath these shoe soles, my recollected memories have often been trampled.
In a dark alley an empty truck stops, with its light on.
Drunken young men fall over. It occurs to me: in my youth,
when the sleet fell, I rode the bus all day long.
Gathering around the old, white wall, people shake off the sleet.
The sleet pours down. Suddenly, tears run. It isn’t because I am unfortunate.
I have finished all the experiences one would experience in life. Sleet.

진눈깨비/기형도

때마침 진눈깨비 흩날린다
코트 주머니 속에는 딱딱한 손이 들어 있다
저 눈발은 내가 모르는 거리를 저벅거리며
여태껏 내가 한번도 본 적이 없는
사내들과 건물들 사이를 헤맬 것이다
눈길 위로 사각의 서류 봉투가 떨어진다, 허리를 나는 굽히다말고
생각한다, 대학을 졸업하면서 참 많은 각오를 했었다
내린다 진눈깨비, 놀랄 것 없다, 변덕이 심한 다리여
이런 귀가길은 어떤 소설에선가 읽은 적이 있다
구두 밑창으로 여러 번 불러낸 추억들이 밟히고
어두운 골목길엔 불켜진 빈 트럭이 정거해 있다
취한 사내들이 쓰러진다, 생각난다 진눈깨비 뿌리던 날
하루종일 버스를 탔던 어린 시절이 있었다
낡고 흰 담벼락 근처에 모여 사람들이 눈을 턴다
진눈깨비 쏟아진다, 갑자기 눈물이 흐른다, 나는 불행하다
이런 것이 아니었다, 나는 일생 몫의 경험을 다했다, 진눈깨비

출처: 시집 『입속의 검은 잎』(문학과지성사, 1994년)

기형도는 1960년 인천에서 태어나 1989년에 작고했다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으며 중앙일보 기자를 역임했다. 윤동주 문학상을 받았으며 시집에 『입속의 검은 잎』이 있다.